맨위로가기

잉골슈타트 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잉골슈타트 대학교는 1472년 설립된 독일의 역사적인 대학교이다. 15세기 후반 인문주의와 자유 교양 학문을 장려하며 콘라트 켈테스, 요하네스 로이클린, 요하네스 아벤티누스 등 저명한 교수진을 배출했다. 종교개혁 시기에는 가톨릭 신앙의 보루 역할을 했으며, 예수회의 영향력이 강화되었다. 18세기 계몽주의의 등장과 재정난으로 인해 란츠후트로 이전되었고, 1826년 뮌헨으로 이전되어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의 기원이 되었다. 소설 《프랑켄슈타인》 등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잉골슈타트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개요
잉골슈타트 대학교의 Alte Anatomie 정원 파사드
잉골슈타트 대학교의 Alte Anatomie 정원 파사드
공식 명칭Universität Ingolstadt
다른 명칭잉골슈타트 대학교
종류교육 기관
설립1472년
폐교1800년
설립자루트비히 9세
위치독일, 바이에른주, 잉골슈타트
조직
기타

2. 설립 초기와 인문주의 (15세기 후반)

잉골슈타트 대학교는 설립 초기부터 실재론과 명목론 학파의 철학자들을 비롯해 자유 교양을 공부하려는 가난한 학생들을 위한 학과를 설립하며 빠르게 성장했다.[2]

2. 1. 주요 교수진

이름분야재직 기간비고
콘라트 켈테스(Conrad Celtes)인문주의 시인[2]
요하네스 로이클린(Johannes Reuchlin)히브리어 학자[2]
요하네스 투르마이어(Johannes Thurmair)역사학자바이에른의 역사가, [2]
파울루스 아에밀리우스히브리어 교수1575년 사망
페트루스 아피아누스수학, 천문학, 지도 제작1495–1552
필리프 아피안수학, 의학1531–1589
요하네스 에크신학1486–1543
레온하르트 푸크스의학, 식물학1501–1566
요하네스 스타비우스수학1498–1503
베네딕트 슈타틀러신학1728–1797임마누엘 칸트의 반대자
요하네스 슈토플러수학, 천문학1472–1476이후 튀빙겐 대학교 교수
아담 바이스하우프트법학잉골슈타트 대학교 법학 교수


3. 일루미나티의 탄생과 활동 (18세기 후반)

아담 바이스하우프트가 1776년 5월 1일 잉골슈타트 대학교에서 일루미나티를 창설했다. 바이스하우프트는 이 대학교 최초의 평신도 교회법 교수였다. 일루미나티는 계몽주의의 한 갈래로 자유사상가들로 구성되었다. 당시 세스 페이슨(Seth Payson) 등은 일루미나티가 유럽 국가 정부 전복 음모를 꾸미고 있다고 주장했다.[2] 오귀스탱 바뤼엘, 존 로비슨 등은 일루미나티가 프랑스 혁명 배후에 있다고 주장했지만, 장-조제프 무니에는 1801년 저서에서 이를 반박했다.[3]

일루미나티는 "완전주의자"라고도 불렸으며, 일루미나티 훈장, 바이에른 일루미나티라고도 불렸다. 이 운동은 일루미니즘(illuminism)으로도 알려졌다. 1777년 카를 테오도어가 바이에른 통치자가 되었고, 1784년 그의 정부는 일루미나티를 포함한 모든 비밀결사를 금지했다.

3. 1. 일루미나티의 이념과 조직



일루미나티는 1776년 5월 1일, 예수회 출신 아담 바이스하우프트(1830년 사망)가 잉골슈타트(상바이에른)에서 창설한 단체이다.[2] 바이스하우프트는 잉골슈타트 대학교 최초의 평신도 교회법 교수였다. 일루미나티는 계몽주의 사조의 영향을 받은 자유사상가들로 구성되었다.

일루미나티 단원들은 "일루미나티"라는 명칭 외에도, 스스로를 "완전주의자"라고 칭하기도 했다. 이 단체는 '일루미나티 훈장', '바이에른 일루미나티'라고도 불렸으며, 이들의 운동은 '일루미니즘(illuminism)'으로 지칭되었다.

일루미나티는 활동 기간 동안 브룬스비크의 페르디난트와 외교관 자비에르 폰 츠바크 등 영향력 있는 지식인과 진보적 정치인들을 회원으로 받아들였다. 특히 츠바크는 조직 내 2인자였으며, 그의 집 수색 과정에서 단체의 많은 문서가 발견되기도 했다. 회원들은 상급자에게 복종을 서약했고, 여러 단계로 나뉜 세 가지 계급으로 분류되었다.

일루미나티는 유럽 대륙 대부분의 국가에 지부를 두었으며, 10년 동안 약 2,000명의 회원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와 같은 문학가, 고타와 바이마르의 통치 공작들까지도 이 조직에 관심을 가졌다. 바이스하우프트는 프리메이슨리를 모델로 삼아 조직을 구성했으며, 많은 일루미나티 지부들이 기존 프리메이슨 조직에서 회원을 모집했다.

3. 2. 일루미나티에 대한 논란과 탄압

아담 바이스하우프트(Adam Weishaupt)가 1776년 5월 1일 잉골슈타트 대학교에서 일루미나티를 창설했다. 바이스하우프트는 이 대학교 최초의 평신도 교회법 교수였다. 일루미나티는 계몽주의의 한 갈래로 자유사상가들로 구성되었다. 당시 세스 페이슨(Seth Payson) 등은 일루미나티가 유럽 국가 정부 전복 음모를 꾸미고 있다고 주장했다.[2] 오귀스탱 바뤼엘(Augustin Barruel), 존 로비슨 등은 일루미나티가 프랑스 혁명 배후에 있다고 주장했지만, 장-조제프 무니에(Jean-Joseph Mounier)는 1801년 저서에서 이를 반박했다.[3]

일루미나티는 "완전주의자(Perfectibilists)"라고도 불렸으며, 일루미나티 훈장, 바이에른 일루미나티라고도 불렸다. 이 운동은 일루미니즘(illuminism)으로도 알려졌다. 1777년 카를 테오도어가 바이에른 통치자가 되었고, 1784년 그의 정부는 일루미나티를 포함한 모든 비밀결사를 금지했다.

일루미나티는 짧은 기간 동안 활동했지만, 유럽 대륙 대부분 국가에 지부를 두고 10년 동안 약 2,000명의 회원을 확보했으며, 영향력 있는 지식인과 진보적인 정치인들이 회원으로 가입했다. 내부 분열과 계승 문제는 1785년 바이에른 정부의 속세령(Secular Edict)으로 인한 몰락으로 이어졌다.[2]

4. 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 (16-17세기)

루터교 운동이 잉골슈타트에서 일찍부터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반종교개혁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인 요한 에크에 의해 빠르게 몰락했다. 에크는 이 대학교를 남부 독일의 전통적인 가톨릭 신앙의 보루로 만들었다.[1]

4. 1. 예수회의 영향력 강화

요한 에크 이후, 많은 예수회 신부들이 학교의 주요 직책에 임명되었고, 17세기 대부분 동안 이 대학교는 점차 예수회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이 시대의 저명한 학자로는 신학자 발렌시아의 그레고리우스, 천문학자 크리스토퍼 샤이너(헬리오스코프 발명가), 요한 바티스트 치사트, 시인 야코프 발데가 있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2세는 이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5. 계몽주의와 대학교 이전 (18-19세기)

18세기에는 계몽주의 사조가 등장하면서 잉골슈타트 대학교와 같은 교회 운영 대학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1] 예수회는 시대 변화에 따라 대학에서 점차 영향력을 잃었고, 대학은 세속화되었다. 이 시기 잉골슈타트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은 비밀결사 일루미나티의 창시자 아담 바이스하우프트였다.[1]

5. 1. 재정난과 란츠후트로의 이전

18세기에는 계몽주의가 등장했는데, 이는 일부 지역에서 잉골슈타트 대학교와 같은 교회 운영 대학교에 반대하는 움직임으로 나타났다. 예수회는 시대 변화에 발맞추려는 대학교에서 점차 떠났고, 결국 대학교는 세속화되었다. 잉골슈타트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은 비밀결사인 일루미나티의 창시자 아담 바이스하우프트였다.[1] 1799년 11월 25일,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4세는 대학교의 재정난이 심각하다고 선언했고, 그 결과 대학교는 란츠후트로 이전하게 되었다.[1] 대학교는 그 해 학기를 마치고 1800년 5월 잉골슈타트를 떠났다.[1]

5. 2. 뮌헨으로의 이전과 현재

1799년 11월 25일,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4세는 대학교의 재정 고갈을 이유로 란츠후트로 이전을 선언했다.[1] 대학교는 1800년 5월 잉골슈타트를 떠났고, 이로써 한때 유럽에서 가장 영향력 있었던 고등 교육 기관 중 하나는 막을 내렸다.[1] 1826년 루트비히 1세 국왕은 대학교를 수도 뮌헨으로 이전했는데, 이것이 현재의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이다.[1] 이후 잉골슈타트에는 또 다른 고등 교육 기관인 WFI 잉골슈타트 경영대학(1989년 아이히슈테트-잉골슈타트 가톨릭 대학교의 일부로 설립)이 설립되어 독일 최고의 경영대학 중 하나로 꼽힌다.[1]

6. 대중문화 속 잉골슈타트 대학교

메리 셸리의 1818년 소설 《프랑켄슈타인》에서 주인공 빅터 프랑켄슈타인은 잉골슈타트 대학교에서 공부한 것으로 묘사된다.[1] 1931년 영화 《프랑켄슈타인》에서는 이 학교를 골드슈타트 의과대학이라고 부른다.[1] 골드슈타트 대학교는 《반 헬싱》 소설판에도 등장하지만, 이 경우에는 루마니아에 위치한다.[1]

7. 주요 교수진


  • 페트루스 아피아누스 (1495–1552), 수학자, 천문학자, 지도 제작자[1]
  • 필리프 아피안 (1531–1589), 수학자이자 의사[2]
  • 요하네스 에크 (1486–1543), 신학자[3]
  • 레온하르트 푸크스 (1501–1566), 의사이자 식물학자[4]
  • 요하네스 스타비우스, 1498–1503년 잉골슈타트 대학교 수학 교수[5]
  • 베네딕트 슈타틀러 (1728–1797), 예수회 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반대자[6]
  • 요하네스 슈토플러 (1472–1476),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이후 튀빙겐 교수
  • 아담 바이스하우프트, 잉골슈타트 대학교 법학 교수

참조

[1] 서적 A Companion to the Worlds of the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2002
[2] 서적 Wortgewaltiger Gegner der Nordlichter: Der Mediziner Johann Nepomuk von Ringseis, in: Ulrike Leutheusser, Heinrich Nöth (Hg.), „Dem Geist alle Tore öffnen". König Maximilian II. von Bayern und die Wissenschaft München 2009
[3] 서적 On the Influence Attributed to Philosophers, Free-Masons and to the Illuminati on the Revolution of France Scholars' Facsimiles & Reprints 1999-05-01
[4] 서적인용 A Companion to the Worlds of the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2002
[5] 서적 Wortgewaltiger Gegner der Nordlichter: Der Mediziner Johann Nepomuk von Ringseis, in: Ulrike Leutheusser, Heinrich Nöth (Hg.), „Dem Geist alle Tore öffnen". König Maximilian II. von Bayern und die Wissenschaft München 2011
[6] 서적인용 On the Influence Attributed to Philosophers, Free-Masons and to the Illuminati on the Revolution of France https://www.amazon.c[...] Scholars Facsimilies & Reprint 1999-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